한국여성의 모유수유 증진을 위한 전략(strategy) 개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09:31
본문
Download : 한국여성의 모유수유 증진을 위한 전략 개발.hwp
이에 비해 미국의 경우에는 이미 국민건강사업의 일환으로 ‘Healthy people 2000`이라는 국가목표(goal)를 설정하고 전국민이 모유수유를 하도록 강력하게 방향제시를 한 바 있고, 민간인 차원에서도 대대적인 계몽 및 홍보활동을 전개한 …(투비컨티뉴드 )
모유는 아기의 성장, 발육에 필요한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어서 아기에게 가장 적합한 영양공급원이며, 모유에는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 면역성... , 한국여성의 모유수유 증진을 위한 전략 개발의약보건레포트 ,
,의약보건,레포트
Download : 한국여성의 모유수유 증진을 위한 전략 개발.hwp( 23 )
설명
모유는 아기의 성장, 발육에 필요한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어서 아기에게 가장 적합한 영양공급원이며, 모유에는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 면역성...






순서
다.레포트/의약보건
한국여성의 모유수유 증진을 위한 전략(strategy) 개발
모유는 아기의 성장, 발육에 필요한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어서 아기에게 가장 적합한 영양공급원이며, 모유에는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 면역constituent 도 함유되어 인공유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질적으로 우수하다. 또한 모유수유는 모자간의 관계를 밀접하게 해 주어 아기에게는 정서적 안정감을 주며, 산모에게는 산욕기 우울증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산모의 자궁수축을 돕고, 유방암 발생도 낮추어 준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여성들은 모유영양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면서도 실제로는 모유수유의 실천율이 상당히 낮고 인공유 수유를 많이 하고 있다 최근에 모유수유를 권장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기는 하나 국내 모유수유율은 1960년대에 95%로부터 1970년대에는 46-69%, 1980년대에는 36-50%, 1990년대에는 24-35%정도로 계속 감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의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199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보고서)에 의하면 생후 1년 이내의 모유수유율은 15.3%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