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복지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6 18:44
본문
Download : 장애인복지법.hwp
1. “신체적 장애”란 주요 외부 신체 기능의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 등을 말한다.
②이 법을 적용받는 장애인은 제1항에 따른 장애인 중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장애가 있는 자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장애의 종류 및 기준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
장애인복지법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제3조(기본이념) 장애인복지의 기본이념은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 참여와 평등을 통하여 사회통합을 이루는 데에 있따
제4조(장애인의 권리) ①장애인은 인간으로서 존엄과 가치를 존중받으며, 그에 걸맞은 대우를 받는다.
②장애인은 국가·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정치·경제·사회·문화, 그 밖의 모든 분야의 활동에 참여할 권리를 가진다.
2. “정신적 장애”란 발달장애 또는 정신 질환으로 발생하는 장애를 말한다. 이 경우 당사자의 意見(의견)수렴을 위한 참여를 보장하여야 한다. , 장애인복지법인문사회레포트 , 장애인복지법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장애인복지법
Download : 장애인복지법.hwp( 65 )
설명
다.
제2조(장애인의 정이 등) ①“장애인”이란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를 말한다.
제6조(중증장애인의 보호)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 정도가 심하여 자립하기가 매우 곤란한 장애인(이하 “중증장애인”이라 한다)이 필요한 보호 등을 평생 받을 수 있도록 …(To be continued )
장애인복지법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장애인복지법,인문사회,레포트
장애인복지법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과 권리보장을 위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등의 책임을 명백히 하고, 장애발생 예방과 장애인의 의료·교육·직업재활·생활環境改善(개선) 등에 관한 사업을 정하여 장애인복지대책을 종합적으로 추진하며, 장애인의 자립생활·보호 및 수당지급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장애인의 생활안정에 기여하는 등 장애인의 복지와 사회활동 참여증진을 통하여 사회통합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③장애인은 장애인 관련 정책결정과정에 우선적으로 참여할 권리가 있따
제5조(장애인 및 보호자 등에 대한 意見(의견)수렴과 참여)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 정책의 결정과 그 실시에 있어서 장애인 및 장애인의 부모, 배우자, 그 밖에 장애인을 보호하는 자의 意見(의견)을 수렴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