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government 의 도서관정책 : 자율과 분권의 시대를 살아가야 할 도서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1 04:52
본문
Download : 참여정부의 도서관정책 자율과 분권의 시대를 살아가야 할 도서관.hwp
이 계획은 기본적으로 도서관을 정보서비스 중심으로 리엔지니어링해서 명실상부 국민들에게 지식culture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기반시설로 전환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하고 있다아
구체적으로는 지식기반사회 도서관의 시대적 사명을 이용자를 위한 전문적인 정보서비스 제공자로 규정하고 …(skip)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참여정부의 도서관정책 자율과 분권의 시대를 살아가야 할 도서관.hwp( 39 )
참여government 의 도서관정책 : 자율과 분권의 시대를 살아가야 할 도서관
순서
설명
자율과 분권의 시대, 도서관정책의 의미와 참여government 의 도서관정책 개요
다.
레포트/인문사회





참여government 의도서관정책
자율과 분권의 시대, 도서관정책의 의미와 참여정부의 도서관정책 개요참여정부의도서관정책 , 참여정부의 도서관정책 : 자율과 분권의 시대를 살아가야 할 도서관인문사회레포트 ,
2. 참여政府(정부)의 도서관정책 개요
참여政府(정부)의 도서관 정책은 지난 국민의 政府(정부) EO 도서관 정책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사실 지난 국민의 政府(정부) 말기인 2002년에 중요한 도서관 정책이 잇달아 발표되었다. 이 3건의 계획은 2000년 3월 발표된 政府(정부) 각 부처가 협력해서 국무회의에서 보고한 ‘도서관 정보화 종합 추진 계획’을 이어받은 것으로 공공도서관을 중심축으로 한 모든 도서관들을 포괄하는 政府(정부)차원의 종합적인 도서관 정책이다. 개별 정책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culture관광부의 도서관 발전 종합계획은 2003년부터 2xxx년까지의 중·장기적인 계획을 담고 있다아 이 계획은 2002년 1월부터 culture관광부가 교육부 등 관계부처와 21 세기(世紀) 지식정보화사회에 도서관이 지식인프라로서 그 기능이 활성화될 때에 비로소 지식강국의 대열에 진입할 수 있다는 인식을 같이하고 도서관발전을 위한 政府(정부)차원의 종합적인 중장기 대책 마련에 나서, culture관광부는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학교·대학·전문/특수도서관 등 관종별 도서관 발전방향과 효율적인 정책추진체계 확립을 위한 종합방법을 수립하고, 교육부는 이를 토대로 학교 및 대학 도서관 활성화 방법을 마련하게 된 것이다. 2002년 8월 2일 제 8차 인적자원개발회의에서 심의되어 확정된 culture관광부의 ‘future 형 지식culture정보서비스 기반 구축을 위한 도서관발전 종합계획 (2003~2xxx)’과 교육인적자원부의 ‘좋은 학교도서관 만들기 :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법’ 그리고 역시 교육인적자원부가 2002년 1월 23일부터 검토해 온 11울 29일의 학교도서관 활성화 방법 중 대학도서관 부문에 대해 최종적으로 입안해서 발표한 ‘대학도서관 활성화 방법’ 등이 그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