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복원에 따른 경제 상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4 16:47본문
Download : 청계천 복원에 따른 경제 현황.hwp
청계천 복원에 따른 경제 상황
레포트/경영경제
청계천 복원에 따른 경제 현황에 관련된 신문기사, 경제도표 및 물가지수, 관련 논문 및 컬럼 등을 수집한 자료 모음집입니다.
설명
순서
청계천복원에따른경제
제 1 장 : 아! 청계천
1. 청계천은 한국경제의 심장인가? 쓰레기통인가?
2. 청계천 - 벤쳐의 요람
3. 청계천 - 시장과 산업정보의 보고
제 2 장 : 청계천변의 동향
1. 청계천변의 물리적 동향
• 대지규모
• 접도조건
• 건축물 동수 및 층수
• 건축물 용도
• 용적률 및 건폐율
• 건축물 구조
• 건축물 노후상태
2. 청계천변의 인문사회적 동향 - 재개발 미시행지구 주민 설문조사
1) 조사목적
2) 조사대상 및 방법
3) 표본추출 및 회수결과
4) 조사기간
5) 토지소유자 (538명) 조사결과
6) 영업세입자 (1,000명) 조사결과
제 3 장 : 청계천 복원에 따른 개발비용
1. 청계천변의 지가 수준(공사지가의 1.3배)
2. 청계천 복원에 따른 비용
제 4 장 : 도심재개발사업의 수익
1. 도심 부동산 시장 동향
2. 분양展望(전망)
제 5 장 : conclusion(결론) - 청계천 복원 그리고도 남는 문제
1. 보전을 위한 개발인가? 개발을 위한 보전인가?
2. 청계천 개발의 의미
지금까지 도심재개발사업이 추진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 토지소유자들은 1) 소유자들간의 복잡한 이해관계, 2) 공공기관의 지원 부족, 3) 민간대기업의 참여 부진 등을 들고 있는 반면, 세입자들은 1) 소유자들의 복잡한 이해관계, 2) 지주들의 재개발 반대, 3) 세입자들의 반대라고 답하고 있다아
이렇게 볼 때 사업이 추진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재개발에 대한 찬/반 갈등, 토지를 둘러싼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되며, 여기에 공공기관의 지원부족, 민간대기업 참여부진, 그리고 집단적으로 밀집해 있는 영업세입자들의 반대도 한 몫하고 있다고 판단된다된다.
[문8] 현 재개발구역의 재개발시행 여부
현 도심재개발구역의 재개발 시행여부에 대해 토지소유자들은 반드시 해야한다 44.1%, 하긴 해야 한다 22.9% 등 재개발을 원하는 쪽이 66.9%, 재개발을 반대하는 쪽이 28.4%이다. 유용하게 활용이 있으리라 생각되며,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래요.청계천복원에따른경제 , 청계천 복원에 따른 경제 현황경영경제레포트 ,
Download : 청계천 복원에 따른 경제 현황.hwp( 27 )
다.
반면, 영업세입자들의 경우에는 반드시 해야한다 13.9%, 하긴 해야 한다 27.6%로 재개발을 원하는 쪽이 41.5%이고, 재개발을 반대하는 쪽이 50.2%으로 나타나, 재개발사업의 시행에 대해 토지소유자와 세입자간에 입장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아
[문9] 현 재개발구역의 재개발 예상시기
현 재개발구역의 재개발 예상시기(가능성)에 대하여는 토지소유자와 세입자 모두 반신반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아 토지소유자들의 53.4%는 10년이내 재개발사업이 가능할 것으로 보았으나, 10~20년이내 6.5%, 20년이상이거나 거의 어려울 것이라는 응답비율이 33.9%를 차지하고 있다아 영업세입자들의 경우에는 10년이내에 재개발될 것이라는 비율이 44.9%, 10~20년이내 10.3%, 20년이상이거나 거의 어려울 것이라는 응답비율이 40.5%를 차지하고 있다아
[문10] 재개발후 개발이익의 정도
도심재개발후 많든 적든 개발이익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토지소유자가 42.6%, 별로 혹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소유자는 38.5%이며, 잘 모르겠…(생략(省略))
,경영경제,레포트






유용하게 활용이 있으리라 생각되며,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래요.
청계천 복원에 따른 경제 상황에 관련된 신문기사, 경제도표 및 물가지수, 관련 논문 및 컬럼 등을 수집한 資料 모음집입니다.